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25

수의사가 알려주는 SDMA, 신장기능 평가 지난 몇 년 동안, 반려동물 건강 분야에서의 발전은 놀라운 속도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특히, 동물의 신장 건강 평가에 있어서는 정확한 정보가 생명을 구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SDMA가 어떤 검사이며, 기존의 신장 기능을 평가하던 Creatinine에 비해 왜 더 신뢰성이 있으며, 신장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지 말씀드리려 합니다. 신장 기능 평가를 할 때 SDMA를 해야하는 이유? 1.신기능 생물표지자 Symmetric Dimethylarginine (SDMA)은 신장에 의해 배설되는 생물표지자입니다. SDMA는 개와 고양이에서 사구체 여과 속도(GFR)를 더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이는 SDMA가 이러한 동물에서 신장 기능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더 잘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2.. 2023. 10. 17.
고양이 설사, 강아지 설사의 원인. 세균성 장염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우리 아이들이 간혹 설사를 하죠. 혈변을 보기도 하고 구토를 하기도 합니다. 설사의 원인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설사 원인들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고양이 설사, 강아지 설사의 원인 : 세균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성 설사입니다. 아이들을 병원에 데리고 가보면 병원에서는 분변검사를 진행할 거예요. 분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균은 Clostridium과 Campylobacter라는 세균입니다. 세균들은 주로 입을 통해 전파가 됩니다. 상한 음식을 먹거나 오염된 흙 등을 먹으면 걸릴 수 있어요. 고양이는 집구석구석에서 이상한 것을 주워 먹기도 하고 강아지들은 산책을 나갔다가 이물이나 상한 음식을 주워 먹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 같습니다. C.. 2022. 9. 4.
강아지 자궁축농증 수술 꼭 필요할까? 자궁축농증 수술 꼭 필요할까? 강아지 고양이들이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아픈 곳이 늘어나게 됩니다. 특히 중성화하지 않은 암컷 고양이나 암컷 강아지들은 자궁축농증이라는 무서운 병에 걸리기도 합니다. 자궁축농증은 중성화 하지 않은 아이들에게서 발병하는데요. 유선종양과 더불어 중성화 수술을 하면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이랍니다. 강아지 자궁축농증은 자궁에 세균이 번식해서 농이 차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폐쇄성과 비폐쇄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폐쇄성인 경우는 자궁이 확장이 심해져 다른 장기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특히 신장으로 가는 혈관을 눌러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어요. 자궁 안에 세균이 혈액으로 들어가 패혈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오픈형 형태는 보호자분들이 강아지 생리가 멈추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는 경우.. 2022. 8. 10.
강아지 슬개골탈구 수술 꼭 해야할까? 부작용 강아지 슬개골탈구 수술은 무엇일까? 강아지를 키우는 집에서는 꼭 한 번씩은 들어봤을 강아지 슬개골탈구란 무엇일까요? 탈구는 위치가 정상적이지 않은 위치에 있는 것이라고 해요. 슬개골은 무릎뼈로 허벅지뼈에 홈이 있는데 그곳에서 빠져나오게 된 것을 슬개골탈구라고 한다고 해요. 슬개골은 말티즈, 요크셔테리어, 푸들, 포메라니안 같은 소형견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데요. 간단하게 생각하면 슬개골이 있을 고랑이 대형견들처럼 높지 않고 빠지게 좋게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슬개골탈구 수술은 이 고랑을 깊게 만들어줘서 슬개골이 다시 빠지지 않게 해주는 수술이라고 합니다. 강아지 슬개골탈구 수술 부작용 소형견을 키우고 있는 보호자분들께서는 병원에서 수술 권유를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큰 수술이다 보니 비용이 많이 .. 2022.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