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고양이 링웜 피부사상균증에 대해 알아보자

by 냥냥이펀치핵펀치 2022. 7. 12.

고양이 링웜
고양이가 왼쪽 눈에 검은 딱지가 있음

 고양이 링웜이란?

 흔히 링웜이라고 알려져 있는 고양이 피부사상균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링웜이라 알려져 있는 피부사상균은 각질 친화성 곰팡이로 털, 피부 그리고 발톱에 침투할 수 있습니다. 피부사상균은 선호하는 숙주와 서식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에게 감염되는 가장 흔한 피부사상균은 Microsporum과 Trichophyton입니다. 이 진균들은 서식하는 장소에 따라 토양 친화성, 동물 친화성, 인간 친화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고양이에게 감염되는 가장 흔한 토양 친화성 사상균은 Microsporum gypseum입니다. 고양이에게 흔한 동물 친화성 피부사상균은 Microsporum canis이고, 고양이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세균입니다. 

 피부사상균의 전파는 직접접촉, 오염된 물건 또는 오염된 환경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전파에는 동물 간 전파, 사람과 동물 간 전파, 환경에서 동물과 사람으로 전파가 가능합니다. 직접적으로 접촉이 가능한 경우에는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고양이에게 있어서 피부사상균 감염을 유발하기 쉽게 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한 번도 노출된 적이 없는 경우 첫 노출에 감염이 되기 쉽다고 합니다. 피부 외상이 있거나 다른 피부병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하기 쉽습니다.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도 전파되기 쉽습니다. 곰팡이가 자라기 쉬운 덥고 습한 곳에서 고양이들이 밀집 사육되었을 경우도 쉽습니다. 백혈병이나 면역결핍 바이러스, 스테로이드 치료, 항암치료를 받는 경우 면역이 약해져서 감염되기 쉽습니다. 

 피부사상균은 털의 성장을 방해하고 손상을 입힙니다. 탈모증에 의해 떨어진 털들은 사상균의 전파를 일으킵니다. 원형으로 털이 빠진다고 해서 링웜이라고 불리는데 고양이에서는 정형적이지는 않습니다. 피부사상균은 환경저항성이 강해서 12~24개월 정도 생존한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회복을 하고 나서도 면역력이 약해진 경우 다시 재발하기도 합니다.

 

 

고양이 링웜 진단하는 방법

 사진과 말로 들었을 때 우리 고양이가 링웜에 걸렸는지 의심이 되는데 동물병원에 가면 어떤 검사를 할까요? 그리고 어떤 증상들이 있을까요? 링웜에 대한 임상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개체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상증상은 곰팡이에 대한 면역반응에 의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면역반응이 없다면 염증반응은 거의 관찰되지 않습니다. 병변은 미비하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고, 감염 고양이는 무증상의 보균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고양이에 대한 적응을 하지 못한 피부사상균은 심각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발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피부사상균은 독소와 알레르기를 생성하여 피부에 손상을 입히고 염증반응을 유발합니다. 발적과 농포, 모낭의 염증을 일으킵니다. 균사는 털 줄기에 침입하여 손상을 유발하고 탈모를 일으킵니다. 링웜은 염증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감염된 모낭으로부터 떨어져 나와서 감염되지 않은 주변 털로 감염이 퍼지게 만듭니다. 그 결과, 부러진 털, 비듬 등을 유발할 수가 있습니다. 

 진단하는 방법은 우드램프, 곰팡이 배양 등이 있습니다. 우드램프는 자외선을 비춰 곰팡이가 애플그린색으로 발색되면 털 줄기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각질과 가피도 형광 발색될 수 있으므로 형광이 발생한다고 해서 확진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스크리닝 정도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으며 확진을 위해서는 곰팡이 배양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곰팡이 배지는 주로 DTM배지를 사용합니다. 원리는 피부사상균은  DTM배지의 단백질을 먼저 사용하여, 알칼리 대사산물을 생산하여 배지의 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합니다. 

고양이 링웜
고양이 링웜

 

고양이 링웜 치료하는 방법

 그럼 우리 고양이가 피부사상균증으로 진단 받았다면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전신 항균제를 복용시켜야 합니다. 하루에 한 번 식사와 함께 먹이셔야 합니다. 항진균제는 간 독성과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임신한 고양이 혹은 8개월 미만의 고양이게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합니다. 항진균제는 3주 간격으로 2번 연속 DTM 배지에서 음성이 나올 때까지 치료를 계속해야 한다고 합니다. 

 감염성 포자들이 더욱 확산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털을 제모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하지만 털을 밀다 클리퍼에 묻은 포자가 전신으로 퍼지게 하는 도화선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항진균제가 들어간 약용샴푸를 1주일에 2회 정도 해주는 것이 추천됩니다. 그리고 다른 동거묘가 있다면 격리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염된 물건이나 옷, 가구, 기구 등이 다른 고양이들에게 곰팡이를 옮길 수 있습니다. 

 강력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모든 노출된 환경에서 감염성이 있는 포자들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입니다. 표백제와 물을 1:10으로 희석하여 가능한 모든 표면에 청소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감염된 고양이가 사용하던 잠자리 시트나 수건은 가급적 자주 세탁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 치료들 중 어느 하나라도 소홀히 한다면 특히나 다른 고양이들과 격리가 잘 되지 않는 다묘 가정이라면 곰팡이를 근절시키는 것은 매우 힘들 것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bntzOr

 

메디록스 S 고수준 살균소독제 4L, 2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