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고양이 귀진드기 귀가 간지러워요

by 냥냥이펀치핵펀치 2022. 7. 13.

귀지가 없는 고양이 귀

 

검은색 귀지와 가려움증 우리 고양이도 귀진드기일까?

  길고양이들을 구조하다보면 고양이 귀에 검은색 귀지가 있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검이경으로 관찰해보면 하얀 귀진드기가 열심히 움직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귀진드기는 고양이 외이염의 발병 원인에 50% 이상을 차지합니다. 어린 고양이들은 주로 어미 고양이나 다른 감염된 어린 고양이들과의 신체적 접촉에 의해 감염이 됩니다. 귀 진드기는 전염성이 매우 높고, 피부 표면에 기생합니다. 귀지선을 자극하여 귀지, 혈액 및 진드기 분비물로 구성된 특징적인 귀지를 이도에 형성합니다. 진드기가 고양이의 표피 부스러기와 분비물을 먹고 자라는 동안, 고양이는 진드기 타액 항원에 노출되어 이로 인해 염증반응과 과민반응이 관찰됩니다. 건강한 어른 고양이에서는 면역체계가 기생충 감염의 증식을 정상적으로 통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진드기 감염만으로도 귀를 엄청나게 가려워 할 수 있습니다.

 

 귀진드기는 숙주특이성이 없어서, 같이 사는 고양이나 강아지에게 전파됩니다. 간혹 드물게 사람에게 감염 될 수 있다고도 합니다. 흑갈색의 귀지, 머리 털기, 귀를 긁는 증상이 반복될 경우 귀진드기 감염을 의심해 보아야합니다. 긁는 것이 심할 경우 머리와 목 같은 부위에 자가 손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귀를 털거나 비비는 것 때문에 이개혈종이 생기기도 합니다. 벼룩, 식이성 알러지, 아토피, 옴, 모낭충 등과 감별해야 합니다.

 

턱을 손으로 바치고 있는 고양이

 

 

검은색 귀지 우리 아이도 귀진드기일까?

 고양이에게 검은색 귀지가 생긴다고 해서 다 귀진드기일까요? 귀진드기를 확진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귀진드기는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 검은 귀지에 하얀 가루같은 것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동물병원에서 검이경을 보면 꿈틀꿈틀 움직이는 하얀색 벌레를 보게 됩니다. 수의사께서 고막의 개통성을 포함하여 이도를 세밀하게 관찰 해 주실겁니다. 슬라이드에 도말해서 현미경으로 보는 방법도 있는데 굳이 이 단계까지는 필요 없는 것 같습니다.

 일부 고양이는 귀진드기에 대한 심한 소양감(가려움증)을 보이기도 하고, 몇 몇 고양이는 비교적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흑갈색 귀지는 말라세치아라는 효모균에 감염에서도 흔하게 관찰 됩니다. 진드기성 외이염과 말라세치아 외이염은 위에서 말씀드린 현미경 검사를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말라세치아 외이염은 강아지에서는 흔한 편이지만 고양이에서는 흔하지는 않습니다. 현미경 검사 시 눈사람 모양의 곰팡이들이 관찰 된다면 항진균제 처방을 받으셔야 합니다. 말라세치아성 외이염은 치료기간이 3~4주 정도 소요됩니다. 정확한 진단으로 알맞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귀진드기는 어떻게 치료해야할까?

 국소적 처치와 전신적 치료를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 국소적 처치로 치료가 완료 됩니다. 귀진드기에 대한 국소적 약물은 많은 제품이 시판되어 있습니다. 이도내료 직접 적용하는 방법도 있고, 목 뒤에 도포합니다. 1회만으로도 충분히 치료효과와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품명으로는 레볼루션, 애드보킷, 브로드라인이 대표적입니다. 같은 성분을 가진 다양한 상품명의 제품들도 동물병원에서 처방 되고 있다고 합니다. 전신적 치료는 강아지에게서는 승인 된 방식인데 고양이에서는 사용이 승인되지 않은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여서 추천 하지는 않습니다. 

 귀를 세정을 해주는 것도 귀진드기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병원에서 귀청소를 해준다면 큰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귀진드기를 죽이는 살충 성분이 들어간 귀 세정제로 치료를 해줄 것입니다. 잘못된 귀청소는 고양이에게 신경증상을 유발 할 수 있으니 동물병원에서 숙달된 직원들에게 받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귀 진드기는 몸의 다양한 부위에서 살수 있기 때문에 당장 귀에서 발견되지 않더라도 귀에서 다시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귀 진드기는 고양이와 떨어져서도 최소 12일 동안 생존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귀 진드기의 치료를 어렵게 하고 전파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귀 진드기는 전염성이 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상증상의 발현 여부와 상관없이, 접촉한 모든 동물은 검사하여 치료 또는 예방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귀 진드기를 치료하고 나서도 2주 정도는 피부 붉어짐과 긁는 행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다시 재감염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다묘 가정에서 순환 감염 되어 재감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댓글